우리금융그룹, 2025년 3분기 경영실적 발표
2025.10.29
				- 3분기 순익 1.24조원, 보험사 신규 편입으로 이익 규모 레벨업 및 수익구조 다변화
- 그룹 보통주자본비율 12.92%(E)로 연중 약 80bp 상승, 밸류업 계획 조기 이행 中
- ‘생산적 금융’ 본격화, 금융 본연의 역할 수행을 통한 지속가능성장 토대 구축
최근 환율 및 관세 협상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견조한 순영업수익 성장과 보험사 인수 효과가 맞물리며 실적 성장을 이끌었다. 이에 따라 그룹 ROE는 10.87%(경상기준 10.09%)로 전분기 대비 1.74%p 상승하며 수익성이 한층 개선됐다.
 
3분기 순이익은 1조 2,444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33% 증가했다. 자산 리밸런싱과 조달비용 효율화로 은행 NIM이 전분기 대비 3bp 상승했으며, 은행 WM·카드·캐피탈 부문 영업력 강화와 보험 손익 반영으로 비이자이익도 전분기 대비 5.3% 늘어나는 등 수익 구조가 다변화됐다.
 
이번 ‘보험 자회사 편입’은 자본비율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종합금융그룹 체계를 완성한 것으로, 비은행 부문 경쟁력 강화와 그룹사 간 시너지 확대의 계기가 됐다. 실제로 방카슈랑스 판매에서 동양·ABL 비중이 3개월간 약 13%p 상승해 22.5%를 기록하는 등, 향후 은행과 비은행의 균형 성장과 자회사 간 시너지 극대화를 통해 성장 기반이 더욱 견고해질 전망이다.
 
또한 우리금융은 경기 둔화 우려에 선제적으로 충당금을 적립해 자산건전성을 강화했다. 그 결과 NPL비율은 0.70%, 은행은 0.31%를 기록했으며, 은행 연체율은 0.36%로 하락했다. NPL커버리지 비율도 그룹 130.0%, 은행 180.9%로 반등하며 주요 건전성 지표가 전반적으로 개선됐다.
 
그룹 보통주자본비율은 12.92%(E)를 기록했다. 환율 상승과 M&A 자본 부담 등에도 오히려 전분기 대비 약 10bp 증가, 업종 내 뚜렷한 개선세를 보이며 탄탄한 자본관리 역량을 입증했다. 이에 연말 목표치인 12.5%은 물론, 중장기 목표 13% 조기 달성도 가시권에 있어, 속도감 있는 밸류업 계획 이행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우리금융 이사회는 지난 24일, 3분기 분기 배당으로 주당 배당금 200원을 결정, 안정적인 주주환원 기조를 이어가며 시장 신뢰를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자산리밸런싱 등 자산구조의 질적 개선 노력으로 보통주비율이 13% 수준에 근접하며 그룹 재무구조가 빠르게 개선됐다.”며, “4분기부터는 지난달 발표한‘미래동반성장 프로젝트’를 통해 생산적 금융 전환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2026년에도 그룹의 성장 모멘텀과 수익성을 한 단계 더 높여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붙 임 : 그룹 주요 경영실적
1. 그룹 순영업수익 : 25년 3분기 누적 8조 1,73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
* [3분기]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으로 안정적 흐름 유지
1) 이자이익 : 자산리밸런싱 및 조달비용 효율화 영향 등으로 전년 대비 완만한 증가세
- 기업대출은 첨단전략산업 중심 금융 확대, 부동산 임대업 중심 자산리밸런싱 병행 추진
- 가계대출은 정책대출 위주의 실수요자금 外 관리목표 내 적극 관리 중
☞ 부동산 중심에서 생산적 금융으로의 전환 추진 중
- 은행 NIM은 상반기에 이어 3분기에도 3bp 추가 상승
: 자산 리밸런싱을 통한 체질 개선, 조달비용 효율화 및 시장금리 상승 영향
 
2) 비이자이익 : 3분기 누적 1조 4,415억원(YoY +4.6%) * [3분기] 5,552억원(QoQ +5.3%)
- 수수료 이익, 올해 1~3분기 연속 5천억원대 이익 시현하며 견조한 성장세
* [3분기] 분기 기준 최대 실적, 전분기 대비 8.0% 증가한 5,637억원
: 은행 WM, 카드, 캐피탈 부문 영업력 강화 및 방카슈랑스 시너지 효과 등
- 3분기 누적기준 대출채권 매각익 전년 대비 큰 폭 감소. 단, 유가증권 평가익 및 외환·파생익 호조에 신규편입 보험사 보험손익 반영되며 비이자이익 증가
 
2. 그룹 판매관리비는 3분기 누적 3조 6,903억원을 기록
- 명예퇴직 비용, 보험사 인수 관련 비용 등 일회성 요인과 증권사 MTS 출시 등 디지털·IT 관련 미래성장 투자 확대한 영향
⇒ 전사적인 비용 효율화 추진 중
 
3. 그룹 대손비용은 경기 둔화 등에 선제적 대응 중, 일회성 충당금 적립* 등 보수적인 건전성 관리로 전년 동기 대비 21.1% 증가
* 1분기 630억원, 2분기 860억원, 3분기 1,520억원
- 이를 제외한 경상 대손비용률은 42bp 수준으로 전년 동기와 유사한 수준
 
● 우리금융그룹 2025년 3분기 손익실적 (연결기준)
 
ㅇ 손익실적
	
		
 
註 : 당기순이익은 비지배지분이익 제외
 
ㅇ 주요 건전성 재무지표
	
		
 
● 우리은행 2025년 3분기 손익실적 (연결기준)
 
ㅇ 손익실적
	
		
註 : 당기순이익은 비지배지분이익 제외
 
			- 그룹 보통주자본비율 12.92%(E)로 연중 약 80bp 상승, 밸류업 계획 조기 이행 中
- ‘생산적 금융’ 본격화, 금융 본연의 역할 수행을 통한 지속가능성장 토대 구축
최근 환율 및 관세 협상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견조한 순영업수익 성장과 보험사 인수 효과가 맞물리며 실적 성장을 이끌었다. 이에 따라 그룹 ROE는 10.87%(경상기준 10.09%)로 전분기 대비 1.74%p 상승하며 수익성이 한층 개선됐다.
3분기 순이익은 1조 2,444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33% 증가했다. 자산 리밸런싱과 조달비용 효율화로 은행 NIM이 전분기 대비 3bp 상승했으며, 은행 WM·카드·캐피탈 부문 영업력 강화와 보험 손익 반영으로 비이자이익도 전분기 대비 5.3% 늘어나는 등 수익 구조가 다변화됐다.
이번 ‘보험 자회사 편입’은 자본비율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종합금융그룹 체계를 완성한 것으로, 비은행 부문 경쟁력 강화와 그룹사 간 시너지 확대의 계기가 됐다. 실제로 방카슈랑스 판매에서 동양·ABL 비중이 3개월간 약 13%p 상승해 22.5%를 기록하는 등, 향후 은행과 비은행의 균형 성장과 자회사 간 시너지 극대화를 통해 성장 기반이 더욱 견고해질 전망이다.
또한 우리금융은 경기 둔화 우려에 선제적으로 충당금을 적립해 자산건전성을 강화했다. 그 결과 NPL비율은 0.70%, 은행은 0.31%를 기록했으며, 은행 연체율은 0.36%로 하락했다. NPL커버리지 비율도 그룹 130.0%, 은행 180.9%로 반등하며 주요 건전성 지표가 전반적으로 개선됐다.
그룹 보통주자본비율은 12.92%(E)를 기록했다. 환율 상승과 M&A 자본 부담 등에도 오히려 전분기 대비 약 10bp 증가, 업종 내 뚜렷한 개선세를 보이며 탄탄한 자본관리 역량을 입증했다. 이에 연말 목표치인 12.5%은 물론, 중장기 목표 13% 조기 달성도 가시권에 있어, 속도감 있는 밸류업 계획 이행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우리금융 이사회는 지난 24일, 3분기 분기 배당으로 주당 배당금 200원을 결정, 안정적인 주주환원 기조를 이어가며 시장 신뢰를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자산리밸런싱 등 자산구조의 질적 개선 노력으로 보통주비율이 13% 수준에 근접하며 그룹 재무구조가 빠르게 개선됐다.”며, “4분기부터는 지난달 발표한‘미래동반성장 프로젝트’를 통해 생산적 금융 전환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2026년에도 그룹의 성장 모멘텀과 수익성을 한 단계 더 높여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붙 임 : 그룹 주요 경영실적
1. 그룹 순영업수익 : 25년 3분기 누적 8조 1,73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
* [3분기]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으로 안정적 흐름 유지
1) 이자이익 : 자산리밸런싱 및 조달비용 효율화 영향 등으로 전년 대비 완만한 증가세
- 기업대출은 첨단전략산업 중심 금융 확대, 부동산 임대업 중심 자산리밸런싱 병행 추진
- 가계대출은 정책대출 위주의 실수요자금 外 관리목표 내 적극 관리 중
☞ 부동산 중심에서 생산적 금융으로의 전환 추진 중
- 은행 NIM은 상반기에 이어 3분기에도 3bp 추가 상승
: 자산 리밸런싱을 통한 체질 개선, 조달비용 효율화 및 시장금리 상승 영향
2) 비이자이익 : 3분기 누적 1조 4,415억원(YoY +4.6%) * [3분기] 5,552억원(QoQ +5.3%)
- 수수료 이익, 올해 1~3분기 연속 5천억원대 이익 시현하며 견조한 성장세
* [3분기] 분기 기준 최대 실적, 전분기 대비 8.0% 증가한 5,637억원
: 은행 WM, 카드, 캐피탈 부문 영업력 강화 및 방카슈랑스 시너지 효과 등
- 3분기 누적기준 대출채권 매각익 전년 대비 큰 폭 감소. 단, 유가증권 평가익 및 외환·파생익 호조에 신규편입 보험사 보험손익 반영되며 비이자이익 증가
2. 그룹 판매관리비는 3분기 누적 3조 6,903억원을 기록
- 명예퇴직 비용, 보험사 인수 관련 비용 등 일회성 요인과 증권사 MTS 출시 등 디지털·IT 관련 미래성장 투자 확대한 영향
⇒ 전사적인 비용 효율화 추진 중
3. 그룹 대손비용은 경기 둔화 등에 선제적 대응 중, 일회성 충당금 적립* 등 보수적인 건전성 관리로 전년 동기 대비 21.1% 증가
* 1분기 630억원, 2분기 860억원, 3분기 1,520억원
- 이를 제외한 경상 대손비용률은 42bp 수준으로 전년 동기와 유사한 수준
● 우리금융그룹 2025년 3분기 손익실적 (연결기준)
ㅇ 손익실적
	(단위: 억원)
| 구 분 | 2025년 3분기 누적 | 2024년 3분기 누적 | 
| ▪순영업수익 | 81,734 | 79,929 | 
| - 이자이익 | 67,318 | 66,146 | 
| - 비이자이익 | 14,415 | 13,783 | 
| ▪판매관리비(△) | 36,903 | 31,581 | 
| ▪충당금적립전영업이익 | 44,830 | 48,348 | 
| ▪제충당금순전입액(△) | 15,176 | 12,538 | 
| ▪영업이익 | 29,654 | 35,810 | 
| ▪세전이익 | 35,808 | 35,916 | 
| ▪당기순이익 註) | 27,964 | 26,599 | 
註 : 당기순이익은 비지배지분이익 제외
ㅇ 주요 건전성 재무지표
| 구 분 | 2025년 3분기 | 2025년 상반기 | ||
| 건전성 | 고정이하여신(NPL)비율 | 0.70% | 0.71% | |
| NPL Coverage 비율 | 130.0% | 127.0% | ||
| 연체율 | 은행 | 0.36% | 0.40% | |
| 카드 | 1.80% | 1.83% | ||
● 우리은행 2025년 3분기 손익실적 (연결기준)
ㅇ 손익실적
	(단위:억원)
| 구 분 | 2025년 3분기 누적 | 2024년 3분기 누적 | 
| ▪순영업수익 | 67,441 | 66,113 | 
| - 이자이익 | 57,959 | 56,324 | 
| - 비이자이익 | 9,482 | 9,789 | 
| ▪판매관리비(△) | 30,650 | 26,433 | 
| ▪충당금적립전영업이익 | 36,792 | 39,680 | 
| ▪제충당금순전입액(△) | 8,090 | 6,420 | 
| ▪영업이익 | 28,702 | 33,259 | 
| ▪세전이익 | 28,998 | 33,150 | 
| ▪당기순이익 註) | 22,933 | 25,244 | 
註 : 당기순이익은 비지배지분이익 제외
 
							